‘경신보(庚申譜)’에 의하면 시조 안자미(安子美)의 대부터 경북 순흥(順興)에서 세거하다가, 4세 안향(安珦)의 대 이후 장단군(長湍郡)에 이거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가 10세 안구(安玖)의 대 이후로 경주군(慶州郡)에 터를 잡았고, 11세 안지석(安知碩)의 대 이후로는 평남 안주군(安州郡)에 세거한 것 같다. 12세 안종(安琮)의 대 이후에는 해주(海州)에, 안기(安璣)의 대 이후에는 남원(南原)에 터를 잡았다. 13세 이후로는 순천(順天) ㆍ 임실(任實) ㆍ 곡성(谷城) ㆍ 화성(華城) ㆍ 강화(江華) ㆍ 문경(聞慶) ㆍ 의주(義州) ㆍ 용천군(龍川郡) 등지에 세거지를 확대하였다. 10세 안경(安璟)의 대 이후에는 지금의 황해도 연백군(延白郡)에 터를 잡았다. 12세 안사전(安嗣全)은 기묘사화(己卯士禍)때 옥천(沃川)으로 퇴거했으며, 13세 안호공(安虎恭)의 대에는 해주(海州)에, 안호준(安虎俊)의 대에는 평산(平山)에 터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13세 안천기(安天琦)는 지금의 파주군(坡州郡)에 적거(謫居)했으며 안시우(安始佑)는 원주(原州)에 옮겨 간 것 같다. 14세 이후에는 북청(北靑) ㆍ 영흥(永興) ㆍ 고원(高原) ㆍ 칠곡(漆谷) ㆍ 보양(晋陽) ㆍ 예산(禮山) ㆍ 나주(羅州) ㆍ 부안(扶安) ㆍ 고창(高敞) ㆍ 양주(楊州) 등지에 세거하였다. 10세 안수(安琇)의 후손은 지금의 함안군(咸安郡)에 터를 잡은 것으로 보이며, 안리(安理)는 단종 손위(遜位)를 보고 예천(醴泉)에 은거하였다. 한편 9세 안종례(安從禮) ㆍ 안종신(安從信) ㆍ 안종검(安從儉) 형제의 대 이후에는 양주군(楊州郡)에 세거한 것같고, 8세 안조동(安祖同)의 대 이후에는 천원군(天原郡) 일원에 터를 잡은 듯하다. 10세 안을귀(安乙貴)의 대에는 함북, 길주군(吉州郡)에 옮겨갔고, 안근(安瑾)의 대 이후에는 황해도 연안(延安)에 세거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1930년 당시 경기도 경주군(慶州郡) 일원, 강원도 철원군(鐵原郡) 일원, 전북 남원군(南原郡) 이백면(二白面) ㆍ 금지면(金池面), 김제군(金堤郡) 백산면(白山面) 일원, 전남 담양군(潭陽郡) 일원, 제주도 일원, 경북 안동군(安東郡), 금릉군(金陵郡), 상주군(尙州郡) 사벌면(沙伐面) ㆍ 중동면(中東面) ㆍ 공검면(恭儉面), 울진군(蔚珍郡) 기성면(箕城面), 예천군(醴泉郡) 용궁면(龍宮面) ㆍ 풍양면(豊壤面), 영풍군(榮豊郡) 안정면(安定面) 일원, 경남 진양군(晋陽郡), 함안군(咸安郡) 가야면(伽倻面) ㆍ 대산면(代山面) 일원,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금산면(金山面) ㆍ 해월면(海月面) 화성면(花城面) ㆍ 운산면(雲山面), 황주군(黃州郡), 삼전면(三田面) ㆍ 수풍면(水豊面), 평남 안주군(安州郡) 신안주면(新安州面) ㆍ 대니면(大尼面), 평북 박천군(博川郡) 양가면(兩嘉面), 용천군(龍川郡) 내중면(內中面), 함남 고원군(高原郡) 운곡면(雲谷面), 함북 길주군(吉州郡) 웅평면(雄坪面)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1980년에도 경기도 광주(廣州) ㆍ 양평(楊平) ㆍ 화성군(華城郡), 강원도 춘성군(春城郡), 충북 청원군(淸原郡), 충남 논산(論山) ㆍ 아산군(雅山郡), 전북 남원(南原) ㆍ 정읍군(井邑郡), 전남 나주(羅州) ㆍ 곡성군(谷城郡), 경북 영주(榮州) ㆍ 안동군(安東郡), 경남 함안(咸安) 합천군(陜川郡)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특히 경남 함안군(咸安郡), 가야읍(伽倻邑) 신음리(新音里)는 순흥안씨(順興安氏) 1백 20여 호가 4백 50여 년 동안 모여 살고 있는 동족부락이다. 입향조(入鄕祖)는 중종조 유학자 안관(安灌)이다. 그는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소용돌이 속에서 목숨을 보존키 위해 첩첩산골인 신음리(新音里)로 피신, 은둔하였다. 마을 중앙에 있는 <우정(友亭)>은 안관(安灌)이 후학을 가르치며 그들에게 사림파의 개혁의지를 심어주던 곳이라 한다.
씨족史 |
|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그리고 안중근(安重根), 민족사의 가장 참담한 어둠 속에 몸을 살라 어둠을 밝히고 구원(久遠)의 별이 되어 역사의 천공(天空)에 오른 거룩한 두 이름, 이들은 순흥안씨(順興安氏)의 영광일 뿐 아니라 한족(韓族)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드러낸 ‘참아’들이다. 어질고(仁), 슬기롭고(智), 굳센(勇) 한겨례의 얼이 고난의 마지막 수렁에서 ‘세계선민(世界選民)’의 사명을 향해 떨쳐 일어나며 도산(島山)은 ‘참되자(務實)’, ‘일하자(力行)’, ‘미쁘자(忠義)’, ‘날쌔자(勇敢)’의 4대 정신을 지표로 큰 선비 운동(興士團)을 일으켰고 안중근(安重根)은 하르빈 역두에서 동양 평화의 교란자 이등박문(伊藤博文)을 평화를 사랑하는 5억 아시아인의 이름으로 처단했다. “거짓이여! 너는 내 나라를 죽인 원수로구나. 군부(君父)의 원수는 불공대천(不共戴天)이라 했으니 내 죽어도 거짓말은 아니 하리라” “서로 사랑하면 살고 서로 싸우면 죽는다. 너도 사랑을 공부하고 나도 사랑을 공부하자. 남자도 여자도 우리 2천만이 사랑하기를 공부하자. 그래서 2천만 한족(韓族)은 서로 사랑하는 민족이 되자” “참배나무에는 참배가 열리고 똘배나무에는 똘배가 열린다. 독립국의 자격이 있는 국민에게는 독립국의 열매가 열린다” “동포여! 힘을 기르소서” “나라가 없을 때 한 집과 한 몸이 있을 수 없고 민족이 천대받을 때 혼자만이 영광을 누릴 수 없다” 59년 일생을 <잠을 자도 대한의 독립을 위해, 밥을 먹어도 대한의 독립을 위해>, 일제(日帝)와 싸우고, 일제(日帝)에 나라가 먹히도록 하고만 자신과 겨레의 악덕과 싸우다 끝내 침략자의 형벌에 순국한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흔히 인도(印度) 독립운동의 영웅 간디에 비교된다. “장부는 비록 죽을지라도 마음이 쇠와 같고 의사는 위태로움에 임할지라도 기운이 구름같도다. ((장부수사필여철(丈夫雖死必如鐵) 의사임위기사운(義士臨危機似雲))” 1909년 하르빈에서 이등박문(이등박문)을 처단한 안중근(안중근)은 이같은 유시를 남기고 의연히 령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하늘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는 남아의 최후였다. 도산(島山)은 평남(平南) 강서(江西) 출신이며, 1897년 구세학당(求世學堂)을 졸업한 후 독립협회에 가입했다. 1899년 강서(江西)에 점진(漸進)학교를 설립하고 1902년 미국으로 건너가 국민학교를 다닌 후 재미교포들의 권익보호와 생활향상을 위해 공립협회(共立協會)를 만들었다. 1907년 귀국해서는 양기탁(梁起鐸) ㆍ 신채호(申采浩)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 민족 각성 운동을 전개했다. 평양(平壤)에 대성(大成)학교, 정주(定州)에 오산(五山)학교를 세웠다. 1912년 미국으로 망명, 대한민국총회를 조직, 총회장에 선임되고 이듬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청년학우회의 후신으로 흥사단을 설립했다. 3 ㆍ 1운동 후 상해(上海)로 가서 임시정부 내무총장 ㆍ 국무총리서리 등을 역임했고 ‘독립신문(獨立新聞)’을 창간, 1928년 한국독립당을 창당했으며 다음해 상해(上海)에서 체포되어 본국으로 송환되어 2년 6개월 복역했다. 1937년 흥사단 동지와 함께 월우회(月友會) 사건으로 체포되었으며 다음해 병보석 되어 지금의 서울대 병원에서 별세했다. 안중근(安重根)은 일찍이 한학(漢學)을 수학하였고, 승마 ㆍ 궁술도 익혀 문무를 겸했다. 1895년 천주학에 입교 하였으며,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1907년 남포(南浦)에 돈의학교(敦義學校)를 세운 후에 만주(滿洲)를 거쳐 블라디보스톡으로 망명했다. 1908년((륭희(隆熙) 2년) 대한의군참모중장(大韓義軍參謀中將) 겸(兼) 특파독립대장(特派獨立大將) 및 아령지구군사령(俄領地區軍司令)의 직책을 맡아 의병군을 이끌고 경흥(慶興)까지 쳐들어가 일본군과 싸웠다. 1909년 러시아 장상(藏相) 코코프체프와 회담하기 위해 만주 하르빈에 오는 이토((이등박문(伊藤博文))의 살해를 결심, 일본인으로 변장하고 하르빈역에 잠입, 권총으로 이토를 쏘아 죽인 후 하르빈 총영사 ㆍ 궁내대신 ㆍ 비서관 등에게 중상을 입히고 현장에서 체포되었다가 1910년 여순(旅順) 감옥에서 사형되었다. 글씨에 뛰어나 많은 유필을 남겼으며, 재감중에 ‘동양평화론’을 집필했다. 안중근(安重根)의 종제(從弟) 안명근(安明根) 또한 어렸을 때부터 형의 감화를 받고 항일운동에 투신, 무력으로써 독립을 쟁취할 목적으로 남만주(南滿洲)에 무관학교 설립을 계획, 황해도(黃海道)의 부호들에게서 자금을 염출하다 체포되었다. 석방된 후 데라우치((사내정의(寺內正毅)) 총독의 암살을 계획하고 선천역(宣川驛)에서 거사하려다 체포되 무기징역을 선고 받고 10년간 복역했다. 그 뒤 만주(滿洲)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계속하다 길림성(吉林省)에서 병사했다. 우리나라 주자학의 태두 안향(安珦)은 고려조의 대표적 인물, 원종(元宗) 1년 18세 때 문과에 들어 1275년((충렬왕(忠烈王) 1년)) 상주(尙州) 판관을 지내고 국자사업(國子司業)에 올랐다. 1288년 좌승지(左承旨)를 거쳐 유학제거(儒學提擧)가 되어 왕과 공주를 따라 원(元) 나라에 들어갔을 때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베껴 쓰고 돌아와 계속 주자학(朱子學)을 연구,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가 되었다. 벼슬은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에 이르렀다. 그는 또 문교의 진흥을 위해 육영재단인 첨학전(瞻學錢)을 설치하고 후진을 양성하는 등 이 땅 유학의 학풍을 수립했다. 사후에는 문묘(文廟) 배향의 영예를 누렸다. 순흥안씨(順興安氏)사 사대부(士大夫)의 명문가로 이름나게 된 것도 이 분의 학문에서 비롯한 것이다. 그의 문하에서 명유(名儒) 백이정(白頤正) ㆍ 우탁(禹倬) 등이 나왔고 특히 백이정(白頤正)의 학풍은 이제현(李齊賢) ㆍ 이색(李穡) 등에 계승되었으며 다시 이색(李穡)의 문하에서 권근(權近)이 나와 유학의 전통이 면면히 이어졌다. 충숙왕(忠肅王) 때 상호군(上護軍) ㆍ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한 안우기(安于器)는 안향(安珦)의 아들이다. 안축(安軸)((충목왕(忠穆王) ㆍ 찬성사(贊成事)) ㆍ 안보(安輔)((정당문학(政堂文學)) ㆍ 안집(安輯)(대제학) 등 3형제는 여말(麗末)의 명신들이다. 안축(安軸)은 국문학사에 빛나는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의 명편을 남긴 대문장이다. 이밖에 여말(麗末)과 조선(朝鮮)초의 인물로 안목(安穆)((공민조(公愍朝) ㆍ 대제학)) ㆍ 안원숭(安元崇)((공민조(公愍朝) ㆍ 대제학)) ㆍ 안종원(安宗源)((태조조(太祖朝) ㆍ 령삼사사(領三司使)) ㆍ 안경공(安景恭)((태조조(太祖朝) ㆍ 집현전대제학)) ㆍ 안완(安瑗)((태종조(太宗朝) ㆍ 도절제사(都節制使)) 등이 있다. 이중 안경공(安景恭)은 조선 개국 공신으로 가문의 번성을 이루었다. 그의 아들 안순(安純)((세종조(世宗朝) ㆍ 호(戶) ㆍ 공(工) ㆍ 판(判) ㆍ 찬성(贊成))과 손자 안숭선(安崇善)((세종조(世宗朝) ㆍ 예문관대제학)) ㆍ 안숭효(安崇孝)((세조조(世祖朝) ㆍ 대사헌)) 등이 모두 벼슬길에 올랐다. 예문관대제학 안숭선(安崇善)은 ‘고려사(高麗史)’ 편찬에도 참여했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던 석학이었다. 순흥안씨(順興安氏)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대에 전성기를 누린다. 이 시기에 안심(安琛)((중종조(中宗朝) ㆍ 지돈녕(知敦寧)) ㆍ 안당(安瑭)((중종조(中宗朝) ㆍ 좌의정)) 안위(安瑋)((명종조(明宗朝) ㆍ 공판(工判)) 등의 명현을 냈다. 이들 중 좌의정 안당(安瑭)은 중종(中宗) 14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파의 유신들을 구하려다 도리어 남곤(南袞) ㆍ 심정(沈貞) 등을 제거하려다. 서고모(庶姑母)의 아들인 안사연(安祀連)의 무고로 동생 처근(處謹)과 함께 사사(賜死)되었다. 이 사화로 안당(安瑭)의 일문은 몰락의 길을 걸었다. 안위(安瑋)는 명종(明宗) 10년에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수한 석학이다. 그는 군략가로 유명했으며 의학에도 정통했다. 사후 청백리에 올랐다. 그의 아우 판결사(判決使) 안상(安瑺)은 음악의 대가였다. 그는 선조(宣祖) 5년 거문고 ㆍ 비파 ㆍ 장구의 악보를 망라하여 ‘금합자보(琴合字譜)’를 발간했는데 이 악보를 ‘금보(琴譜)’라 한다. 근세기에 들어서는 안중근(安重根)의 공판 때 무료 번호를 맡았던 변호사 안병찬(安秉贊)((상해임정(上海臨政) ㆍ 법무차장)),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男), 3 ㆍ 1운동 후 독립군 사령부를 창설한 안무(安武),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안재홍(安在鴻),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음악가로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安益泰), 한말(韓末)의 대표적인 화가 안중식(安中植) ㆍ 서상일(徐相一) ㆍ 신성모(申性模) 등과 항일비밀 결사 대동(大東)청년단을 조직, 구국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무역업에 종사하면서 독립군 운동을 측면 지원했던 거상(巨商) 안희제(安熙濟), 을사조약(乙巳條約) 체결 후 1천여 의병을 진두 지휘, 홍주산성(洪州山城)에서 항일전을 치렀던 의병장 안병찬(安炳瓚) 등이 순안(順安)의 인물들이다. 언병찬(安秉瓚)은 1905년 ((광종(光宗) 9년)) 법부주사(法部主事)로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대궐에 들어가 통곡했다. 1909년 안중근(安重根)의 공판에 변호사가 되어 무료로 변호를 담당하였으며, 3 ㆍ 1운동 후 만주로 망명, 안동현(安東縣)에서 대한청년단을 조직하고 총재가 되었으나 체포되어 평양에 이송되었다. 복역 중 병보석 되자, 만주 관전현(寬甸縣)으로 탈출, 홍통구(弘通溝)에서 금승만(金承萬) 등과 대한청년연합회를 결성, 총재로서 많은 독립단원을 훈련시키고, 1920년 일본군에 다시 피체, 곧 석방되어 상해(上海)로 가서 임시정부 법무차장에 임명되었다. 안창남(安昌南)은 목사의 아들로서 한동소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인 비행사 스미드열 시범 비행을 보고 비행사가 될 것을 결심했다. 1918년 도일, 대판(大阪)자동차 학교에서 조종술을 배운 다음 모교의 교수가 되었다. 1921년 비행사 시험에 합격, 이 해 동경(東京)과 대판(大阪) 사이의 우편 비행기의 조종사가 되었다. 다음해 ‘동아일보(東亞日報)’의 후원으로 고국 방문 배행을 하여 열광적 환영을 받았다. 그 후 독립운동에 참가하기 위해 상해(上海)로 탈출, 산서성(山西省)에 가서 염석산(閻錫山) 장군 휘하의 태원(太原)비행학교 교관이 되었으며 뒤에 중국의 혁명 전선에 참가했다. 안무(安武)는 1899년 구한국군(舊韓國軍) 진위대(鎭衛隊)에 임대하였으며, 경성교련관(京城敎鍊官) 양성소를 졸업하고 진위대(鎭衛隊) 교련관이 되었다. 1907년 군대 해산으로 퇴직, 한일합방이 되자, 만주(滿洲) 간도(間島)로 망명, 대한국민회 부회장이 되었다. 3 ㆍ 1운동 후 독립군사령부를 창설, 독립군을 양성하는 한편 러시아에서 무기를 구입하여 군비를 확장했다. 그후 도독부군(都督府軍)과 합류하여 부관(副官)이 되고, 1920년 일본 제 19사단 소속 부대와 봉오동(鳳梧洞) 부근에서 접전하여 일본군 1백 20명을 사살한 승리를 거두었다. 이어 2백명의 의병을 이끌고 밀산(密山)으로 이동, 대한독립군단 조직에 참가했다가 이듬해 국민군을 인솔하고 러시아의 자유시로 들어가 고려군정의회(高麗軍政議會)와 합류했다. 1923년 국민회 사령관으로 북경(北京)에서 열린 국민대표회의에 참석, 이듬해 용정(龍井)에 본부를 두고 항일운동을 하다가 왜경의 습격으로 부상을 입고 체포되었다. 용정(龍井) 자혜병원(慈惠病院)에서 치료를 거절하고 죽었다. 안재홍(安在鴻)은 1914년 일본 와세다 대학정경과를 졸업, 1916년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 이회녕(李會寧) ㆍ 신채호(申采浩) 등이 조직한 동제사(同濟社)에 가입, 귀국하여 중앙고보 교감, 기독교 교육부 간사를 역임했다. 3 ㆍ 1운동 때 만세 운동을 지휘하고 이어 대한 청년 외교단을 조직, 임시정부와 연락을 취하다가 왜경에게 체포되어 3년간 복역했다. 1923년 ‘시대일보’를 창간라여 이사 겸 논설위원을 지내고 ‘조선일보(朝鮮日報)’ 사장 겸 주필로 10년간 재직했다. 한편 물산 장려회 이사로 국산품 장려 운동을 주도했다. 1925년 신간회 총무가 되었으나 일본 관헌에 체포되어 8개월간 복역했다. 1936년 임시정부와의 내통이 발각되어 2년간 복역했으며,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1년간 수감되었다. 해방 후 미군정청 민정장관이 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6ㆍ25 사변 때 납북되었다. 안익태(安益泰)는 평양(平壤) 숭실학교(崇實學校)를 수료, 일본 국립 음악학교에서 첼로를 전공하고 1930년 도미, 필라델치아 커티스 음악학교에 입학했으며 뒤이어 신시내티 음악학교에서 첼로와 작곡을 전공하였다. 1936년 유럽에 건너가고, 이듬에 빈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에게 사사, 영국 민요를 따라 부르던 애국가를 새로이 작곡하고 1939년 부다페스트 국립 음악학교에 들어갔다. 그 후 지휘자로서 각국을 순례, 영국의 로열필하모니, 이탈리아의 로마 교향악단을 비롯, 각국의 유명한 2백여 교향악단을 지휘하여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쳤다. 후기 낭만파에 속하는 지휘자였던 그는 1965년 9월 스페인 바르셀로나 병원에서 별세했다.
역대 주요 인물 |
|
▲고려조 안채(安采) (판도판서(販圖判書)) 안향(安珦) (시(諡): 문성(文成) ·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 안우기(安于器) (순평군(順平君) · 시(諡): 문순(文順) ·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문개(安文凱) (시(諡): 문의(文懿) · 첨의참리(僉議參里) ·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 안석(安碩) (밀직제학(密直提學)) 안목(安牧) (시(諡): 문숙(文淑) · 순흥군(順興君) · 정당문학(政堂文學)) 안천선(安千善) (시(諡): 양정(良貞) · 순성군(順城君) · 정당문학(政堂文學)) 안축(安軸) (시(諡): 문정(文貞) ·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보(安輔) (시(諡): 문경(文敬) · 전법판서(典法判書)) 안집(安輯) (시(諡): 순흥군(順興君) · 성균제주(成均祭酒)) 안원숭(安元崇) (시(諡): 문혜(文惠) · 순성군(順城君) · 정당문학(政堂文學)) 안조동(安祖同) (예문관부제학(藝文館副提學)) 안경(安璟) (주부동정(主簿同正)) 안경온(安景溫) (집현전제학(集賢殿提學)) 안수(安垂) (한림지제고(翰林知制誥)) 안경량(安景良) (도순문사(都巡問使)) 안준(安俊) (판봉상사사(判奉常寺事)) ▲조선조 안천보(安天保)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안우세(安遇世) (호조판서(戶曹判書)) 안경공(安景恭) (시(諡): 양도(良度) ·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 령삼사사(領三司事)) 안종원(安宗源)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안원(安瑗) (시(諡): 경질(景質) · 형조전서(刑曹典書)) 안종약(安從約) (이조참의(吏曹參議)) 안가산(安嘉山)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안순(安純) (시(諡): 정숙(靖肅) · 수문전대제학(修文殿大提學)) 안의여(安義輿) (개성소윤(開城少尹)) 안구(安玖)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 안경(安璟) (한성부윤(漢城府尹)) 안수기(安修己) (병조정랑(兵曹正郞)) 안숭선(安崇善) (시(諡): 문숙(文肅)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안을귀(安乙貴) (정랑(正郞)) 안지귀(安知歸)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안지석(安知碩) (공조전서(工曹典書)) 안귀행(安貴行)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안중후(安重厚) (연안부사(延安府使)) 안근후(安謹厚)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안관후(安寬厚) (경상관찰사(慶尙觀察使)) 안돈후(安敦厚)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안근(安根) (안주판관(安州判官)) 안처량(安處良) (예조참판(禮曹參判)) 안호(安瑚) (공조참판(工曹參判)) 안침(安琛) (공조판서(工曹判書) · 예문제학(藝文提學)) 안림(安琳)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 안당(시(諡): 정민(貞愍) · 좌의정(左議政)) 안만철(安萬哲)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안기(安璣)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안처선(安處善) (공조좌랑(工曹佐郞)) 안처성(安處誠) (군자감정(軍資監正)) 안철손(安哲孫) (이조참각(吏曹參刻)) 안신손(安信孫) (예문관대교(藝文館待敎)) 안수홍(安守洪) (내금위장(內禁尉將)) 안처겸(安處謙)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안처성(安處誠)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안위(安偉) (시(諡): 문희(文僖) · 병조판서(兵曹判書)) 안현(安玹) (시(諡): 간(簡) · 좌의정(左議政)) 안수(安琇) (첨정(僉正)) 안공신(安公信)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안수(安璲) (홍문박사(弘文博士)) 안쾌 (단양군수(丹陽郡守)) 안해(安海) (홍문교리(弘文校理)) 안경지(安敬之)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안종도(安宗道)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 안목유(安目裕) (이조판서(吏曹判書)) 안관(安寬) (종부사정(宗簿寺正)) 안경(安敬) (군수(郡守)) 안지(安祉) (교리(校理)) 안언룡(安彦龍) (광주판관(光州判官)) 안전(安佺) (부사(府使)) 안재(安齋) (도사(都事)) 안희(安熹) (부사(府使)) 안재수 (장락첨정(掌樂僉正)) 안경(安璥) (대사헌(大司憲)) 안욱(安頊)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안헌민(安獻民) (찰방(察訪)) 안충(安忠) (장령(掌令)) 안명효(安命孝) (예빈사정(禮賓寺正)) 안숙(安塾)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안한규(安漢珪) (헌납(獻納)) 안여석(安如石) (병조참판(兵曹參判)) 안식(헌납(獻納)) 안구(安垢) (좌승지(左承旨)) 안규(安圭) (부승지(副承旨)) 안여악(安如岳)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안건지(安健之) (예빈사정(禮賓寺正)) 안응정(安應禎) (호조참판(戶曹參判)) 안시상(安時相) (필선(弼善)) 안련석(安鍊石) (군수(郡守)) 안성(安晟) (판관(判官)) 안중필(安重弼) (공조참판(工曹參判)) 안영시(安永時)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안경운(安慶運) (병조참의(兵曹參議)) 안복준(安復駿) (지중추(知中樞)) 안정인(安正仁) (군수(郡守)) 안도겸(安道鎌) (이조정랑(吏曹正郞)) 안급인 (지평(持平)) 안교희(安敎熙) (헌납(獻納)) 안택중(安宅重) (승문정자(承文正字)) 안집(安集) (공조판서(工曹判書)) 안극효(安克孝) (사헌부사간(司憲府司諫)) 안겸제(安兼濟) (대사헌(大司憲)) 안관제(安寬濟) (교리(校理)) 안성빈(安聖彬) (대사간(大司諫)) 안정현(安廷玹) (승지(承旨)) 안중권(安中權) (찰방(察訪)) 안극성(安克誠) (훈련원주부(訓練院主簿)) 안정대(安鼎大) (예조참판(禮曹參判)) 안대제(安大濟) (승지(承旨)) 안석윤(安錫胤) (별검(別檢)) 인임권(安任權) (첨추(僉樞)) 안매권(安邁權) (부총관(副摠管)) 안제원(安濟元) (도사(都事)) 안정선(安廷善) (대사간(大司諫)) 안경(安敬) (봉사(奉事)) 안익겸(安益謙) (직장(直長)) 안유(安裕) (부호용(副護踊)) 안반(安班) (좌랑(佐郞)) 안윤승(安允昇) (장령(掌令)) 안상묵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안이권(安以權) (시랑(侍郞)) 안경심(安經心) (찰방(察訪)) 안형택(安衡宅) (정랑(正郞)) 안윤경(安允璟) (병조참의(兵曹參議)) 안국태(安國泰) (도사(都事)) 안형직(安衡稷) (호조참의(戶曹參議)) 안윤항(安允沆) (병조참지(兵曹參知)) 안윤시(安允蓍) (대사간(大司諫)) 안윤중(安允中) (장령(掌令)) 안윤정(安允錠) (도사(都事)) 안영풍(安永豊) (한성좌윤(漢城左尹)) 안국진(安國鎭) (부호군(副護軍)) 안지남(安之南) (직부(直赴)) 안념진(安念鎭) (동부승지(同副承旨)) 안치묵(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안재린(安在麟) (교리(校理)) 안익희(安益熙) (이조정랑(吏曹正郞)) 안기영(安驥泳) (승지(承旨)) 안익풍(安翊豊) (장령(掌令)) 안정패(安廷佩)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안광우(安光佑) (감찰(監察)) 안우량(安雨良)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안병탁(安秉鐸)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안치원(安致元) (정자(正字)) 안염신(安念信) (장령(掌令)) 안창범(安昌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안종면(安種冕)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안병건(安炳乾) (사헌부정랑(司憲府正郞)) 안규식(安圭植) (지평(持平)) 안태진(安泰鎭) (시독(侍讀)) 안필호(安弼濩) (승지(承旨)) 안처견(安處堅) (진사(進士)) 안기정(安琪禎) (진사(進士)) 안종의(安從義) (첨추(僉樞)) 안인발(安仁發) (진사(進士)) 안극치(安克治) (현감(縣監)) 안극상(安克祥) (진사(進士)) 안민(安敏) (진사(進士)) 안사검(安思儉) (진사(進士)) 안철석(安鐵碩) (진사(進士)) 안은석(安銀碩) (진사(進士)) 안숭효(安崇孝) (진사(進士)) 안복지(安復志) (영해부사(寧海府使)) 안식(安湜) (광양현감(光陽縣監)) 안건(安健) (도사(都事)) 안걸(安傑) (부사(府使)) 안수의(安修義) (진사(進士)) 안서(安瑞) (진사(進士)) 안세평(安世評) (진사(進士)) 안선(安璿) (봉상사부정(奉常寺副正)) 안종(安琮) (통천군수(通川郡守)) 안윤업(安胤業) (통덕랑(通德郞)) 안윤경(安胤慶) (공조참의(工曹參議)) 안윤길(安胤吉) (통덕랑(通德郞)) 안범(安範) (진안(鎭安) · 예안현감(禮安縣監)) 안수륜(安秀崙) (의정부사록(議政府司錄)) 안주(진사(進士)) 안서국(安瑞國) (현감(縣監)) 안처명(安處明) (부사(府使)) 안처중(安處中) (참봉(參奉)) 안처지(安處知) (참봉(參奉)) 안처경(安處經) (현감(縣監)) 안처권(安處權) (진사(進士)) 안처상(安處尙) (진사(進士)) 안선손(安善孫) (장사랑(將士郞)) 안경조(安敬祖) (진사(進士)) 안곤(安琨) (진사(進士)) 안수(安壽) (진사(進士)) 안전(安琠) (현감(縣監)) 안녕(安寧) (진사(進士)) 안광종(安光宗) (진사(進士)) 안사전(安嗣全) (찰방(察訪)) 안순좌(安舜佐) (회양부사(淮陽府使)) 안로(호(號): 초포(焦浦) · 예조참의(禮曹參議)) 안환(安環) (진사(進士)) 안응린(安應麟) (별좌(別座)) 안헌방(安憲邦) (진사(進士)) 안세복(安世復) (순계군(順溪君)) 안언호(安彦豪) (진사(進士)) 안순원(安舜元) (진위상장군(振威上將軍)) 안몽익(安夢益) (진사(進士)) 안기(安玘) (승지(承旨)) 안진(참봉(參奉)) 안식(安湜) (광양현감(光陽縣監)) 안유경(安由敬) (진사(進士)) 안지성(安之望) (진사(進士)) 안선유(安善孺) (진사(進士)) 안준유(安俊孺) (진사(進士)) 안창공(安昌恭) (승절교위(承節校尉)) 안복선(安復善) (목사(牧使)) 안염(安琰) (진사(進士)) 안광수(安光壽) (진사(進士)) 안흥종(安興琮) (참봉(參奉)) 안영(安瑛) (호(號): 오지당(五之堂) · 진사(進士)) 안응수(安應秀) (진사(進士)) 안순(安珣) (지중추(知中樞)) 안종검(安宗儉) (진사(進士)) 안공진(安公鎭) (진사(進士)) 안공필(安公弼) (진사(進士)) 안공신(安公信)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안희국(安希國) (군수(郡守)) 안신손(安信孫) (현감(縣監)) 안경호(安景豪) (진사(進士)) 안의(安懿) (진사(進士)) 안만균(安萬均) (진사(進士)) 안려(安慮) (진사(進士)) 안선무(安善武) (좌통례(左通禮)) 안관(安寬) (종부사정(宗簿寺正)) 안심(安審) (종부사정(宗簿寺正)) 안응두(安應斗) (진사(進士)) 안윤(安玧) (도사(都事)) 안극전(安克銓) (진사(進士)) 안극심(安克諶) (교관(敎官)) 안숙(安琡) (진사(進士)) 안헌(安獻) (진사(進士)) 안언방(安彦邦) (진사(進士)) 안개(참봉(參奉)) 안탁(安琢) (참봉(參奉)) 안인(安仁) (진사(進士)) 안서기(安瑞騏) (진사(進士)) 안형우(安亨佑) (진사(進士)) 안숭도(安崇道) (만호(萬戶)) 안경로(安景老) (진사(進士)) 안충로(安忠老) (감찰(監察)) 안승종(安承宗) (진사(進士)) 안관(安瓘) (진사(進士)) 안종우(安宗遇) (봉사(奉事)) 안세우(安世遇) (좌랑(佐郞)) 안자복(安自福) (진사(進士)) 안의(安誼) (부사(府使)) 안경인(安敬仁) (진사(進士)) 안경복(安景福) (별제(別提)) 안석룡(安碩龍) (절락재(節樂齋) 박사(博士)) 안세관(安世寬) (현감(縣監)) 안황(安璜) (진사(進士)) 안수빈(安守彬) (진사(進士)) 안혼(安琿) (진사(進士)) 안한경(安漢卿) (진사(進士)) 안존의(安尊義) (진사(進士)) 안우(安祐) (진사(進士)) 안상(安祥) (진사(進士)) 안수인(安壽仁) (진사(進士)) 안원필(安元弼) (진사(進士)) 안극인(安克仁) (현감(縣監)) 안잠(安潛) (군수(郡守)) 안한(安瀚) (현감(縣監)) 안익령(安益齡) (진사(進士)) 안신길(安信吉) (참판(參判)) 안극성(安克誠) (진사(進士)) 안극첨(安克僉) (참판(參判)) 안인원(安仁元) (진사(進士)) 안봉령(安鳳齡) (진사(進士)) 안절(安節) (진사(進士)) 안제민(安齊民) (시직(侍直)) 안경시(安敬時) (진사(進士)) 안오(安晤) (진사(進士)) 안기(安幾) (진사(進士)) 안온(安溫) (진사(進士)) 안제(安濟) (진사(進士)) 안징(진사(進士)) 안경(安璟) (진사(進士)) 안동(진사(進士)) 안세로(安世老) (진사(進士)) 안세고(安世考) (진사(進士)) 안흠(安欽) (도사(都事)) 안찬(安燦) (군수(郡守)) 안순공(安順功) (진사(進士)) 안철건(安哲健) (진사(進士)) 안호(安鎬) (좌랑(佐郞)) 안개(도정(都正)) 안찬영(安贊永) (진사(進士)) 안개(安介) (진사(進士)) 안창(安昶) (진사(進士)) 안우(安祐) (진사(進士)) 안재말(安載沫) (진사(進士)) 안징(安瀞) (진사(進士)) 안두원(安斗元) (진사(進士)) 안종난(진사(進士)) 안우(安瑀) (참봉(參奉)) 안광욱(安光郁) (호(號): 동오(東塢) · 좌랑(佐郞)) 안우(安瑀) (진사(進士)) 안세감 (직장(直長)) 안신언(安愼言) (교관(敎官)) 안응망(安應望) (참봉(參奉)) 안구(安玖) (별검(別檢)) 안중(安重) (정랑(正郞)) 안지(安至) (정랑(正郞)) 안기(安基) (진사(進士)) 안춘국(安春國) (진사(進士)) 안헌국(安憲國) (진사(進士)) 안정국(安鼎國) (진사(進士)) 안수곤(安壽坤) (참봉(參奉)) 암엄(安儼) (진사(進士)) 안우(安佑) (진사(進士)) 안준(安儁) (진사(進士)) 안휴(安休) (정랑(正郞)) 안정로(安正魯) (진사(進士)) 안응세(安應世) (진사(進士)) 안극권(安克權) (진사(進士)) 안중소(安重紹) (직장(直長)) 안중관(安重觀) (호(號): 익와(益窩) · 세마(洗馬)) 안중인(安重仁) (진사(進士)) 안석전(安錫佺) (호(號): 사오당(四吾堂) · 정랑(正郞)) 안성희(安聖希) (진사(進士)) 안성대(安聖大)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안덕소(安德昭) (진사(進士)) 안계창(安繼昌) (진사(進士)) 안황(安璜) (좌랑(佐郞)) 안경(安瓊) (참봉(參奉)) 안정현(安廷玹) (좌승지(左承旨)) 안정헌(安廷獻) (진사(進士)) 안상원(安尙元) (진사(進士)) 안태진(安泰震) (진사(進士)) 안석손(安碩孫) (진사(進士)) 안수함(安壽咸) (진사(進士)) 안도영(安道永) (진사(進士)) 안홍영(安洪永) (진사(進士)) 안석량(安錫良) (진사(進士)) 안덕붕(安德鵬) (진사(進士)) 안중현(安重鉉) (호(號): 사영재(四影齋) · 참봉(參奉)) 안병민(安秉民) (진사(進士)) 안순강(安順康) (진사(進士)) 안좌묵(정랑(正郞)) 안수항(安守恒) (진사(進士)) 안박 (현령(縣令)) 안하로(安夏輅) (진사(進士)) 안취인(安就仁) (진사(進士)) 안여대(安如岱) (진사(進士)) 안오국(安嗚國) (진사(進士)) 안여감(진사(進士)) 안홍구(安弘垢) (진사(進士)) 안상경(安相經) (진사(進士)) 안진(安晋)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안수량(安壽良) (진사(進士)) 안후인(安厚仁) (진사(進士)) 안진화(安晋和) (진사(進士)) 안귀수(安貴壽) (진사(進士)) 안두징(安斗徵) (진사(進士)) 안균석(安龜石) (진사(進士)) 안로석(安老石) (진사(進士)) 안견룡(安見龍) (진사(進士)) 안성리(安省履) (진사(進士)) 안필주(安弼周) (진사(進士)) 안홍정(安弘靖) (호(號): 죽당(竹堂) · 찰방(察訪)) 안제만(安濟萬) (진사(進士)) 안고 (진사(進士)) 안초(安初) (진사(進士)) 안흠(安欽) (진사(進士)) 안우제(安羽濟) (호(號): 만습암(晩習庵) · 당진현감(唐津縣監)) 안정철(安廷哲) (진사(進士)) 안정옥(安廷玉) (진사(進士)) 안명옥(安命玉) (진사(進士)) 안성길(安聖吉) (참봉(參奉)) 안정좌(安廷佐) (호(號): 용은(龍隱) ·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안상집(安相緝) (이조참의(吏曹參議)) 안헌민(安獻民) (진사(進士)) 안성윤(安成胤) (진사(進士)) 안학묵(진사(進士)) 안명일(安明逸) (호(號): 방옹(放翁) · 오위장(五衛將)) 안명술(安明述) (호(號): 유존재(猶存齋) · 참봉(參奉)) 인명윤(安明允) (진사(進士)) 안유상(安有相) (진사(進士)) 안성룡(安成龍) (진사(進士)) 안수점(安受漸) (진사(進士)) 안하오(安夏五) (진사(進士)) 안우(安祐) (진사(進士)) 안총(安寵) (진사(進士)) 안양회(安養會) (진사(進士)) 안상운(安象云) (진사(進士)) 안진(安鎭) (진사(進士)) 안몽백(安夢伯) (진사(進士)) 안우리(安羽鯉) (진사(進士)) 안진균(安鎭龜) (진사(進士)) 안이룡(安爾龍) (진사(進士)) 안경기(安景祺) (진사(進士)) 안경위(安景褘) (참봉(參奉)) 안백영(安百榮) (진사(進士)) 안윤의(安潤義) (진사(進士)) 안덕린(安德麟) (진사(進士)) 안술(安述) (진사(進士)) 안봉희(安鳳熙) (진사(進士)) 안해로(安海老) (진사(進士)) 안경도(安景道) (진사(進士)) 안병연(安炳淵) (진사(進士)) 안세영(安世泳) (도사(都事)) 안동(진사(進士)) 안행준(安行準) (진사(進士)) 안학승(安學承) (진사(進士)) 안중섭(安重燮) (진사(進士)) 안교석(安敎錫) (진사(進士)) 안국(安國) (진사(進士)) 안익홍(安翼弘) (진사(進士)) 안병희(安炳熙) (진사(進士)) 안철현(安哲玄) (부호군(副護軍)) 안장환(安章煥) (진사(進士)) 안국지(安國知) (진사(進士)) 안광벽(安光璧) (지돈녕(知敦寧)) 안호중(安鎬重) (진사(進士)) 안덕주(安德柱) (진사(進士)) 안영탁(安泳倬) (진사(進士)) 안윤손(安允孫) (사직령(社稷令)) 안종헌(安鍾憲) (진사(進士)) 안기진(安基珍) (진사(進士)) 안태훈(安泰勳) (진사(進士)) 안진권(安鎭權) (진사(進士)) 안극(安克) (진사(進士)) 안의권(安義權) (진사(進士)) 안득상(安得祥) (중추부사(中樞府使)) 안수린(安壽麟) (진사(進士)) 안재열(安載烈) (진사(進士)) 안용(安溶) (진사(進士)) 안수익(安壽益) (진사(進士)) 안홍도(安弘道) (진사(進士)) 안기정(安琪禎) (진사(進士)) 안정모(安正模) (진사(進士)) 안중근(安重根) (진사(進士)) 안승우(安承禹) (의병대장(義兵大將)) 안창식(安昌植) (의병대장(義兵大將)) 안병림(安炳琳) (의병장(義兵將)) 안창호(安昌浩) (상해임정각원(上海臨政閣員)) 안재홍(安在鴻) (정치가(政治家))
[등과인명(登科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안향(安珦) (원종조) 안축(安軸) (원종조) 안우기(安于器) (충렬왕조) 안전(安甸) (충렬왕조) 안성계(安成桂) (충렬왕조) 안축(安軸) (충선왕조) 안목(安牧) (충숙왕조) 안보(安輔) (충숙왕조) 안종원(安宗源) (충혜왕조) 안경온(安景溫) (공민왕조) 안수(安垂) (공민왕조) 안경량(安景良) (공민왕조) 안경공(安景恭) (우왕조) 안조동(安祖同) (우왕조) 안종약(安從約) (창왕조) 안순(安純) (창왕조)
[조선조 급제자 정록]
지(止) (태종(太宗) 14년 · 친시(親試) · 을과이(乙科二)) 지(止) (태종(太宗) 16년 · 중시(重試) · 을과이(乙科二)) 구(玖) (태종(太宗) 17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수기(修己) (세종(世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진사(進士)) 홍기(鴻起) (세종(世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진사(進士)) 숭선(崇善) (세종(世宗) 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질(質) (세종(世宗) 5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지귀(知歸) (세종(世宗) 14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중의(仲毅) (세종(世宗) 17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철손(哲孫) (세종(世宗) 23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귀행(貴行) (세종(世宗) 26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관후(寬厚) (세종(世宗) 29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중후(重厚) (세종(世宗) 29년 · 친시(親試) · 정과(丁科)) 신손(信孫) (단종(端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집(緝) (세종(世宗) 6년 · 별시(別試) · 을과삼(乙科三)) 근후(謹厚) (세종(世宗) 6년 · 평양별시(平壤別試) · 을과삼(乙科三)) 돈후(敦厚) (세종(世宗) 6년 · 평양별시(平壤別試) · 을과삼(乙科三)) 근(根) (세종(世宗) 6년 · 평양별시(平壤別試) · 을과삼(乙科三)) 호(瑚) (세종(世宗) 12년 · 고성춘시(高城春試) · 일등(一等)) 침(琛) (세종(世宗) 12년 · 고성춘시(高城春試) · 이등(二等)) 림(琳) (성종(成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당 (성종(成宗) 12년 · 친시(親試) · 병과(丙科)) 만철(萬哲) (성종(成宗) 2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기(璣) (연산(燕山) 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처선(處善) (연산(燕山) 3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종손(終孫) (연산(燕山) 4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처성(處誠) (연산(燕山)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수량(秀良) (중종(中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처순(處順) (중종(中宗) 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수륜(秀侖) (중종(中宗) 11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처근(處謹) (중종(中宗) 14년 · 현량시(賢良試) · 삼등(三等)) 정(珽) (중종(中宗) 14년 · 현량시(賢良試) · 삼등(三等)) 처겸(處謙) (중종(中宗) 14년 · 현량시(賢良試) · 삼등(三等)) 현(玹) (중종(中宗) 16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위(瑋) (중종(中宗) 1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수륜(秀崙) (중종(中宗) 17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수(琇) (중종(中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수량(秀良) (중종(中宗) 21년 · 중시(重試) · 을과(乙科)) 여지(汝止) (중종(中宗) 2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충달(忠達) (중종(中宗) 29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공신(公信) (중종(中宗) 3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축(중종(中宗) 37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명세(名世) (중종(中宗) 3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수(璲) (명종(明宗)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해(海) (명종(明宗) 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종도(宗道) (명종(明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자유(自裕) (명종(明宗) 1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응균(應鈞) (명종(明宗) 1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공신(公信) (명종(明宗) 11년 · 중시(重試) · 병과(丙科)) 관(寬) (명종(明宗)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빈(敬賓) (명종(明宗)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지(祉) (명종(明宗) 14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전(佺) (명종(明宗) 1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제(霽) (선조(宣祖) 1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희(熹) (선조(宣祖) 18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담수 (선조(宣祖) 3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璥) (광해(光海)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욱(頊) (인조(仁祖) 1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헌민(獻民) (인조(仁祖) 21년 · 관서별시(關西別試) · 병과(丙科)) 명로(命老) (효종(孝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여지(汝止) (효종(孝宗) 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숙(塾) (현종(顯宗) 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한규(漢珪) (현종(顯宗) 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여석(如石) (현종(顯宗) 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여기(汝器) (현종(顯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식 (현종(顯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구(垢) (현종(顯宗) 10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규(圭) (숙종(肅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여악(如岳) (숙종(肅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건지(健之) (숙종(肅宗)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준유(俊孺) (숙종(肅宗)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민유(敏孺) (숙종(肅宗) 18년 · 춘당대(春塘臺) · 을과(乙科)) 절(節) (숙종(肅宗) 2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련석(鍊石) (숙종(肅宗) 3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성(晟) (숙종(肅宗) 3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중필(重弼) (숙종(肅宗) 3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세갑(世甲) (숙종(肅宗) 4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성시(聖時) (경종(景宗) 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운(慶運) (영조(英祖) 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명학(命鶴) (영조(英祖) 4년 · 평안시(平安試) · 병과(丙科)) 복준(復駿) (영조(英祖) 4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정인(正仁) (영조(英祖) 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도겸(道謙) (영조(英祖) 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택중(宅重) (영조(英祖) 1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초 (영조(英祖) 14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치택(致宅) (영조(英祖) 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극효(克孝) (영조(英祖) 17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정택(正宅) (영조(英祖)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겸제(兼濟) (영조(英祖) 3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정대(鼎大) (영조(英祖) 3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치방(致邦) (영조(英祖) 3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관제(寬濟) (영조(英祖) 3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이권(以權) (영조(영조) 3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성빈(聖彬) (영조(英祖) 3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정현(廷玹) (영조(英祖) 4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중권(中權) (영조(英祖) 4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대제(大濟) (영조(英祖) 4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석윤(錫胤) (영조(英祖) 43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임권(任權) (영조(英祖) 4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제원(濟元) (영조(英祖) 51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매권(邁權) (정조(正祖) 4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봉래(鳳來) (정조(正祖)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심(經心) (정조(正祖) 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중묵(정조(正祖) 10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정선(廷善) (정조(正祖)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묵(정조(正祖)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형직(衡稷) (정조(正祖) 1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익겸(益謙) (정조(正祖) 20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협(정조(正祖) 2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이정(以鼎) (정조(正祖) 24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윤승(允昇) (순조(純祖)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상묵 (순조(純祖) 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형진(亨鎭) (순조(純祖)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급인 (순조(純祖) 15년 · 평안시(平安試) · 을과(乙科)) 윤경(允璟) (순조(純祖) 16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국태(國泰) (순조(純祖) 20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윤원(允沅) (순조(純祖) 25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정순(正淳) (순조(純祖) 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윤기(潤耆) (순조(純祖) 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영풍(永豊) (순조(純祖) 3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국진(國鎭) (헌종(憲宗) 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염진(念鎭) (헌종(憲宗) 1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치묵 (철종(哲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재린(在麟) (철종(哲宗) 2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시협(時協) (철종(哲宗) 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교희(敎熙) (철종(哲宗) 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익희(益熙) (철종(哲宗) 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윤정(允錠) (철종(哲宗) 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명석(命奭) (철종(哲宗) 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기영(驥泳) (철종(哲宗) 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익풍(翊豊) (철종(哲宗) 1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익량(翊良) (철종(哲宗) 14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병탁(秉鐸) (고종(高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종원(鍾元) (고종(高宗) 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염신(念信) (고종(高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창범(昌範) (고종(高宗) 12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병건(炳乾) (고종(高宗) 2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규식(圭植) (고종(高宗) 23년 · 평안도(平安道) · 병과(丙科)) 기원(基元) (고종(高宗) 2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형진(衡鎭) (고종(高宗) 28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정패(廷佩) (고종(高宗) 29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필호(弼鎬) (고종(高宗) 30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벌열(閥閱)]
●상신(相臣) : 안당 (중종조 좌의정(左議政)) 안현(安玹) (영종조 좌의정(左議政)) ●공신(功臣) : 안경공(安景恭) (태조조 개국3등공신(開國3等功臣)) 안당 (중종조 정난3등공신(定難3等功臣)) 안몽윤(安夢尹) (인조조 이괄란토평3등공신(李适亂討平3等功臣)) ●문형(文衡) : 안처겸(安處謙) (중종조) 안정(安珽) (중종조) ●호당(湖堂) : 안자기(安子器) 안침(安琛) (성종조) 안수(安璲) (명종조) ●청백리(淸白吏) : 안현(安玹) (명종조) 안잠(安潛) (명종조) 안처겸(安處謙) (중종조) 안침(安琛) (선조조) 안자유(安自裕) (선조조) ●절의(節義) : 안승우(安承禹) (한말구국운동(韓末救國運動) 및 순절제인(殉節諸人)) 안병찬(安炳瓚) (한말구국운동(韓末救國運動) 및 순절제인(殉節諸人)) 안중근(安重根) (한말구국운동(韓末救國運動) 및 순절제인(殉節諸人)) ●장신(將臣) : 안철(安澈) (효종조 어영대장(御營大將)) ●명륜(明倫) : (효행(孝行) 안율중(安律中) (증감찰(贈監察)) 안지경(安之敬) (제잡역(除雜役)) 안식 (정려(旌閭)) 안효천(安孝天) (순조조 증교관(贈敎官) · 정려(旌閭)) 안건(安健) (철종조 증호조좌랑(贈戶曹佐郞)) ●문집(文集) : 삽교예학록 (안석경(安錫儆)) 삽교집 (안석경(安錫儆)) 삽교만록 (안석경(安錫儆)) 추원록(追遠錄) (안응창(安應昌)) 청교묵담(靑郊墨談) (안응창(安應昌)) 조선상고사감(朝鮮上古史鑑) (안재홍(安在鴻)) 한민족의 기본진로(韓民族의 基本進路) (안재홍(安在鴻))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新民族主義와 新民主主義) (안재홍(安在鴻)) 회와집(悔窩集) (안중관(安重觀)) 근재집(謹齋集) (안축(安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