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가 가사 咸平天地(함평천지) 늙은 몸이 光州故鄕(광주고향)을 보려하고 濟州漁船(제주어선)을 빌려 타고 海南(해남)으로 건너 갈 제 興陽(흥양 지금 고흥)에 돋은 해는 寶城(보성)에 비쳐있고, 高山(전북 고산)의 아침안개 靈岩(영암)에 둘러있다. 泰仁(정읍 태인)하신 우리 聖君 禮樂(성군 예락)을 長興(장흥)하니 三台六卿(삼태육경)은 順天心(순천심)이요. 方伯守令(방백수령)은 鎭安(진안)이라. 高敞城(고창성)에 높이 앉아 羅州風景(나주풍경)바라보니 萬丈雲峰(만장운봉)은 높이 솟아 層層(층층)한 益山(익산)이요. 白里潭陽(백리담양) 흐르는 물은 구비구비 萬頃(만경)인데, 龍潭(진안 용담)의 흐르는 물은 이 아니 龍安處( 익산 용안처)며, 綾州(능주)의 붉은 꽃은 곳곳마다 錦山(금산)인가. 南原(남원)에 봄이 들어 各色花草(각색화초) 茂長(고창 무장)하니 나무 나무 任實(임실)이요. 가지 가지 玉果(옥과)로다. 風俗(풍속)은 和順(화순)이요. 人心(인심)은 咸悅(익산 함열)인데 異草(이초)는 茂朱(무주)하고, 瑞氣( 군산 서기)는 靈光(영광)이라. 昌平(창평)한 좋은 시절 務安(무안)을 일 삼으니 士農工商(사농공상)은 樂安(순천 낙안)이요. 父子兄弟(부자형제)는 同福(화순 동복)이라 康津(강진)의 商賈船(상고선)은 珍島(진도)로 건너갈제 金溝(김제 금구)의 金을 일어 쌓인 게 金堤(김제)로다. 農事(농사)하는 沃溝百姓(군산 옥구백성) 臨陂蓑依(임피사의(군산) 둘러입고 井邑(정읍)의 井田法(정전법)은 納稅人心 淳昌(납세인심 순창)이라. 古阜(군산 고부) 靑靑 楊柳邑은(청청 양유읍) 光陽 春色(광양 춘색)이 팔도에 왔네. 谷城(곡성)의 묻힌 선비 求禮(구례)도 하려니와 興德(고창 흥덕)을 일삼으니 扶安 齊家(부안 제가)이 아닌가? 湖南(호남)의 굳은 法聖(법성) 全州 百姓(전주백성)거느리고 長城(장성)을 멀리 쌓고 長水(전북 장수)를 돌고 돌아 礪山 石(익산 여산 석)에 칼을 갈아 南平樓(남평루)에 꽂았으니 三千里(삼천리))좋은 景(경)은 湖南(호남)이 으뜸이라. 거어드렁 거리고 살아보세.
모두가 함께 어울려서 평화(咸平/함평)롭게 살아가는 좋은 세상(天地/천지)에 최고 어른이(늙은 몸) 광명한 고향(光州/광주)을 보려하고 온 백성을 구제(濟州/제주)하는 큰 배(어선/漁船)을 빌려 타고 남쪽지방(海南/해남)으로 건너 갈제, 아침에 돋는 해(興陽/흥양)는 보배의 땅(寶城/보성)에 비쳐 있고, 높은 산(高山/고산)의 아침 안개는 신령한 바위(靈岩/영암)에 둘러 있네.
인자(泰仁/태인)하신 우리 성군(聖君) 예의 바르고 즐겁게 살아가는 예악(禮樂) 세상을 크게 일으키니 장흥(長興) 삼정승 육판서(三台 六卿)는 하늘의 뜻(順天心/순천심)을 따르고 지방의 모든 수령(方伯守令)들은 백성을 편안(鎭安/진안)하게 다스리는 구나.
탁 트인 언덕(高敞/고창)에 높이 앉아 삼라만상(森羅萬象) 펼쳐진(羅州/나주), 좋은 풍경을 바라보니 산들은 높이 솟아 구름 위에 떠있고(萬丈 雲峰/만장 운봉), 병풍같이 두른 층층(層層) 산은 겹겹(益山/익산)이 쌓여 있네.
백리(白里) 담양(潭陽), 흐르는 물은 굽이굽이 큰강(萬頃/만경)되니, 용담(龍潭/현재 댐이 건설되었음)의 맑은 물은 용(龍)이 살던 곳이 아니련가. 비단같이 고은 마을(綾州/능주)에 붉은 꽃(현재 복숭아 재배단지임)이 만발하니 금수강산(錦山/금산)이라.
우리 호남(湖南)의 굳고 바른 거룩한 정신(法聖/법성:단오제)으로 온 백성(全州) 거느리고 만리같은 성(長城)을 쌓고, 긴강(長水/장수)으로 둘러치고, 숫돌(礪山石/여산 석)에 큰 칼을 갈아들고 남녘땅 지키려고 남평루(南平樓)에 올라보니, 팔도(八道)의 좋은 경(景)은 호남(湖南)이 으뜸이라
거어드렁 거리고 지내보세
호남가(湖南歌)
이서구(李書九 1754-1825년)는 조선시대의 문인으로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제( 齊)이다. 정조 17년(1793년)과 순조 20년(1820년), 두 차례 전라감사를 지내면서 호남지방 여러고을(54개)의 이름을 빌어 함평천지 호남가를 지었다. 호남가는 민중의 노래로 불리어 오다가 경복궁 낙성식(1867년)때 전라도 대표로 나가 장원하니 그때부터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한말(韓末)과 일제치하에 고향을 그리는 향수로 나라 잃은 망국의 한(恨)을 달래는 비원(悲願)의 노래로 애창되어 왔다고 한다